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현대백화점판교점맛집
- 호캉스
- 용인맛집
- 북촌맛집
- 마켓컬리
- 집밥
- 점심도시락
- 주말요리
- 주말아침식사
- 삼성동맛집
- 익선동
- 강원도여행
- 발리여행
- 건강식
- 서울호캉스
- 직장인점심
- 발리풀빌라
- 익선동카페
- 광교호수공원
- 발리
- 한옥카페
- 속초여행
- 용인카페
- 코엑스몰맛집
- 오늘의도시락
- 베이커리카페
- 익선동맛집
- 광교맛집
- 아이랑호캉스
- 요리
Archives
- Today
- Total
아름아름
Gram 염색에서 Iodine과 탈색제의 역할 본문
미생물을 관찰하는데 필요한 염색 중 그람염색에서
Iodine은 매염제 (mordant)의 역할을 하는데, 이는 gram 양성 및 음성균 세포 내에서 색소와 작용하여 일조의 침체현상을 일으켜 색소의 부착을 촉진시킨다.
1차 염색시약과 결합하여 불용성 화합물인 Crystal violet-iodine(CVI) complex 를 형성하여 세포에 더욱 강하게 고정시키며 모든 세포는 짙은 자주빛을 띄게 된다. 특히 gram 양성균은 세포벽 중의 Magnesium-ribonucleic acid 가 CVI complex와 결합하여 Mg-RNA-CVI complex가 형성되는데, 이것은 CVI complex 보다 세포에 더욱 강하게 결합되어 제거하기 더욱 어렵다.
탈색제(decolorizer)는 gram 음성균 세포에 착색된 crystal violet 색을 씻어 없애지만 gram 양성균은 이 탈색제에 견딜 수 있어서 crystal violet 색을 유지하게 된다. 이는 세포벽의 화학적, 물리적 차이에 의한 결과이다. 그러므로 이 탈색제는 gram염색 과정에서 사용하면 어떤 균이 gram 음성균인지, 양성균인지 알아낼 수 있는 중요한 시약이다.

Gram stain of Staphylococcus aureus. Contributed by Scott Jones, MD
(Gram positive bacteria)
728x90
'정보 > 과학 리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달팽이 키우기 3탄!! 달팽이가 태어났어요. (0) | 2020.06.11 |
---|---|
세포의 골격에 대하여 (cytoskeleton) (0) | 2020.06.10 |
항생제 및 항균제에 대하여 (0) | 2020.06.05 |
멸균의 정의와 종류 (0) | 2020.06.04 |
달팽이키우기 2탄 달팽이가 알을 낳았어요!! (0) | 2020.05.20 |